개발자로서의 경력을 정리하고, 다양한 프로젝트들을 소개하기 위해 개인 웹사이트를 개발하였습니다. 현재는 AI/LLM Engineeer로 활동하고 있지만, 웹 개발자로서의 경험을 살려 웹사이트를 제작하였습니다.
이 웹사이트는 Next.js와 MDX를 사용하여 개발되었으며, 각 프로젝트의 세부 정보는 .mdx
파일로 작성되어 있습니다. 이를 통해 마크다운 형식으로 작성된 내용을 쉽게 읽고, 관리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최초에는 Gatsby
를 사용하여 개발하였으나, 2025년 7월에 Next.js
로 리뉴얼하였습니다. Gatsby
의 생태계가 활성화되지 않아 유지보수, 특히 여러 package의 종속성 문제로 인해 어려움을 겪었기 때문입니다. Next.js
는 더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다양한 기능과 생태계를 제공하여 사이트 재개발을 결정하게 되었습니다.
회사를 다니면서 주말에 틈틈히 개발을 진행하였고, 2주에 걸쳐 사이트를 리뉴얼하였습니다. 이 과정에서 Next.js의 App Router와 MDX를 활용하여 효율적인 페이지 관리를 구현하였으며, Tailwind CSS를 사용하여 반응형 디자인을 적용하였습니다.
이렇게 새로 리뉴얼을 하게 되며 라이브러리, 프레임워크의 생태계가 얼마나 중요한지 다시 한번 깨닫게 되었습니다. 앞으로도 신기술들을 빠르게 습득하고, 최신화된 표준을 적용하며 시대를 따라가는 게 목표입니다.
🔧 사용 기술
Projects Page
4가지 분류는 아래의 기준을 따릅니다.
- AI Project: 자신의 AI 전문성을 보여 줄 수 있는 Signature works
- Web Project: 또 다른 흥미 분야인 웹에 대한 Signature works
- Sub Project: 그 외 다양한 기술에 대한 흥미를 보여주는 활동
- Toy Project: 흥미 위주의 단순 재미를 위한 개발
2025년 7월 기준으로 이 프로젝트는
Next.js
로 리뉴얼되었습니다. 이전의Gatsby
기반 포트폴리오 사이트는 여기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이하는 이전
Gatsby
기반 포트폴리오 사이트에 대한 설명입니다.
개발해왔던 프로젝트들을 정리하기 위해 Gatsby
를 사용하여 직접 포트폴리오 사이트를 만들었습니다. 웹 개발자로써 React
로 직접 자신만의 웹페이지를 만들어 보고 싶다고 줄곧 생각해왔고, 학기가 끝난 틈을 사용해 저의 프로필과 프로젝트들을 소개할 수 있는 페이지를 만들어 보았습니다. 각 프로젝트의 세부적인 페이지는 .mdx
파일에서 마크다운으로 작성되고, 이를 읽어들여 각 페이지를 생성해냅니다.
별도의 서버없이 github.io
로 사이트 배포를 하기 위해 React
기반 정적 사이트 생성기인 Gatsby
를 선택했습니다. React
환경에는 이미 친숙한 만큼 Gatsby
를 사용하는 데 큰 무리가 없었습니다. 사이트를 만들면서 GraphQL
을 통해 파일을 읽고 데이터를 처리하였고, 이 과정을 통해 GraphQL
의 기초적인 사용을 새롭게 익혔습니다.